개발자 커리어콘 <나를 위해 일하는 개발자> 후기

2021 캐치카페 개발자 커리어콘

나를 위해 일하는 개발자 - 류호현님

문과 출신의 프로그래머로서 실리콘밸리에서 7년간 일하며 조직문화를 체득하고, 한국에 돌아와 정플랫폼 스타트업 옥소폴리틱스를 설립한 유호현님의 개발자 성장 전략. 이상적인 조직/커리어에 대해 설득력있게 전달하는 강연이었다.

위계조직 vs. 역할조직

위계조직의 특징

  1. 디자인 담당자가 아니라 사장의 말 한마디가 제품디자인을 결정하며, 아무리 디자이너가 뛰어나도 사장의 취향에 맞춰야 한다.
  2. 뛰어난 사람이 와도 사장에 맞게 표준화되므로 그냥저냥 괜찮은 사람을 고용한다.
  3. 기획서를 내밀며 ‘사장님 결재 난 거니까 그대로 하세요’ 하는 waterfall 방식
  4. 위계조직에서 좋은 인재는 말을 잘 듣고 시키는대로 잘 하는 사람
  5. 위계조직에서 일하는 사람에게 가장 좋은 건 승진, 안 좋은 건 잘리는 것이다. 그러므로 현재 트렌드와는 상관없이 상사를 만족시키는 것에 집중한다.

역할조직의 특징

  1. 디자인 전문가가 디자인의 결정권자가 된다.
  2. 디자이너의 역량이 곧 제품의 성공에 직결되기 때문에 뛰어난 디자이너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몸값이 엄청난 경우가 많다.
  3. 상사나 매니저가 아닌 디자이너(담당자)가 전문가이므로 기획과 소통을 통해 판단하여 결정하고 결정한 내용을 소통한다.
  4. 역할조직에서 좋은 인재는 종합적인 판단과 소통능력을 갖춘 사람
  5. 역할조직에서 일하는 사람에게 가장 좋은 건 업계가 나를 찾을 정도로 성장하는 것이고, 가장 안 좋은 것은 업계가 나를 찾지 않는 것이다.
  • 어차피 3~5년 후 이직하기 때문에 당장의 승진이나 해고는 큰 이슈가 되지 않는다.
  • 최신 기술과 정보로 스스로를 무장시켜야 하는데 회사에서 20년 전 기술로 프로그래밍하라고 일방적으로 지시하면, 내 향후 커리어가 꼬일 것을 생각하면서 반론해야 한다.

인재상

  1. 개인이 하고싶은 것과 회사가 필요로 하는 것이 일치: 역할조직이 가장 선호
  2. 개인이 하고싶은 것과 회사가 필요로 하는 것이 일치하지는 않지만 서로 성장과 도움을 줄 수 있는 경우: 역할조직과 서로 계약관계이지만 서로의 성장에 기여
  3. 하고싶은 게 딱히 없고 회사가 시키는 것만 하는 경우: 위계조직이 가장 선호

역할조직과 성장하는 개인의 특징과 전략

  • 회사에서 행복한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 된다.
  • 매슬로우의 욕구피라미드가 모두 충족되는 회사생활을 한다.
  • 직원들이 자신들의 커리어성공을 위해 열심히 일하는 것이 회사에 도움이 된다.
  • 깊이, 여러번 생각하며 좋은 코드를 짜는 개발자로 만들어준다.
  • 하나를 가르쳐주면 하나만 알면 된다. overcommunication이라고 느낄 정도로 서로 명확하게 알 때까지 소통하고 일을 진행시킨다.
  • Bus Factor: 정보와 기술을 가진 사람이 몇명 죽어야 그 지식이 소멸되는지의 수치로, 더 많은 사람에게 알릴 수록 그 지식은 유용하며 bus factor가 높다. bus factor을 무한대로 만들기 위해 문서화를 잘 해두자.
  • postmortem: 프로젝트가 실패하거나 실수했을 때 재발방지를 위해 작성하는 문서
    • 언제 어떻게 시작되고 끝났으며, 문제가 일으킨 비용을 회수할 수 있는 가능성과 방법, 문제가 일어난 이유와 재발을 막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문서화.
    • 실수로 인해 일어난 비용을 물어내는 것이 책임이 아니라, 실수를 인정하고 재발방지 시스템을 세우는 것이 책임이다.
    • c.f. 위계조직에서는 실수가 드러나면 인사고과에 타격이 있으므로 덮어두고, 그러므로 계속해서 재발한다. 실수가 일어나도 사고를 막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아니라 실수하지 않도록 똑바로 하라는 것이 결론이 된다.
  • 토론을 통해 서로 다른 의견이 정반합의 원리로 새로운 더 좋은 의견을 이끌어나간다.
  • 소통의 비용을 낮춘다. 다 develop해서 가져오는 게 아니라 중간중간에 계속 서로 소통하며 자주 의견을 나누고 의견이 좋지 않은 경우는 초반에 자주 무시당해야 한다.
  • speed, quality, feature 세가지의 사이에서 균형을 맞춰나가는 게 소프트웨어 개발자이다. (quality와 feature가 정해져내려오는 위계조직은 당연하게도 speed를 요구)

기타 질의

CS 공부

  • 컴퓨터공학과 2학년 정도 될 정도로 해두면 좋고, 연사 본인은 학부 4학년생 수준의 지식을 갖추었다.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은 필수

위계조직과 역할조직을 지원자 입장에서 구분하는 법

  • 미션이 명확한지를 가지고 쉽게 구분할 수 있다.
  • 위계조직(세계1위 자동차를 만들자) vs. 역할조직(인류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자)
  • 위계조직은 waterfall model이기 때문에 전문가일 필요가 없다. 그냥 시키는대로 만들면 된다.
  • 역할조직은 반면에 agile 계획으로 새로운 솔루션을 시장의 변화에 따라 만들어내므로 각자 역할에 대해 전문가여야 하며 모두가 한 방향을 바라보는 게 아니라 새로운 솔루션을 계속해서 제안하는 개인으로 구성된다.

커리어 관련

  • 문서화를 효율적으로 하는 방법: 노션이나 구글독스를 통해 많이들 한다.
  • 내가 했던 것들을 통해 갖춘 역량이 회사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어필하면 된다.
  • Knowledge worker에서 Knowledge capitalist으로 변화하는 것이 실리콘밸리의 인재들의 모습. 회사에 월급을 요구하는 게 아니라 회사의 지분을 요구하며 서로의 성장을 책임진다.

느낀 점

  • 회사에서 자아실현을 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엄청난 문화충격이었다. 너무 이상적인 게 아닐까 싶지만 그래도 개발직군은 특히나 개발자의 성장이 곧 회사의 성장이라는 것을 아는 조직이 적지 않을테니 희망을 가지고 열심히 해봐야지.
  • 진로를 결정하거나 회사생활을 할 때 회사 앞에서 작아지는 게 아니라 내 경쟁력을 늘 염두에 두고 의사결정에 목소리를 내야한다는 것도 새로이 깨달았다.
  • 일개 노동자가 아니라 전문가로서의 마음가짐과 태도로 마음을 고쳐먹게 된 강연이었다.